PHM(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)
1. 정의
- 운용유지단계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장비나 기계시스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, 고장 징후를 포착하는 진단(Diagnostics)과 잔여유효수명(RUL)을 예지(Prognostics)하는 효과적인 건전성 관리 기술
- 분야: PHM은 기계, 항공, 발전소 등 고장 발생 시 손실이 매우 큰 설비나 시스템에 주로 적용
- (1)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시스템의 이상상황을 감지하고
- (2) 분석 및 예지진단을 통하여 고장 시점을 사전에 예측하여
- (3) 설비 운영과 관리를 최적화를 이루는 기술
2. PHM 5대 구성 요소
(1) 신뢰도: 공정(process)과 자산(asset)이 건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상징후를 사전에 발견&고장을 예방
(2) 성능: 최소 비용으로 공정과 자산 목표성능을 달성하도록 최적화 (ex. 효율)
(3) 환경: 공정과 자산의 오염배출 상태를 진단하고 개선조치를 취해 환경기준치 초과를 방지
(4) 안전: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설비와 작업자의 생체 및 환경을 대상으로 상태를 진단, 사고를 예방
(5) 원가: 공정과 자산의 신뢰도-성능-환경이 생산원가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저긍로 분석하여 운영과 유지보수 정책을 결정
3. PHM 실행을 위한 4 STEP
* 산업 특성 상 현재 증설 및 기기 개발 과정이라면, 설비 데이터 수집 과정부터 어려움이 있을 거라 생각이 든다.
* 설비 관련 데이터를 이해하는 것 뿐만 아니라, 각 설비가 위치한 공정에 대한 프로세스 이해도 필요할 것이다.
* 마지막으로,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얼마나 발달된 이상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하는가 이기 때문에, AI 관련 역량이 중시된다.